🌀공(空)을 넘어서: 존재로서의 자각부처는 “모든 것은 공하다”고 말했다.이건 완벽한 통찰이지만, 동시에 ‘멈춘 사유’로 끝날 위험이 있다.모든 게 허상이라면, 노력도 의미도 결국 덧없다고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.이 지점에서 많은 이들이 허무주의에 빠진다.그러나 공은 ‘무(無)’가 아니라 ‘가능성의 상태’다.모든 형태가 사라진 자리이자, 새로운 형태가 태어나는 자궁 같은 곳이다.즉, 공을 이해한 뒤에는 그 빈 공간 위에 무엇을 창조할지가 더 중요해진다.⸻🌱 무아를 자각한 ‘나’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?무아를 깨닫는다는 건, ‘나’라는 고정된 실체가 없음을 이해하는 것이다.하지만 그건 “나로 살지 말라”는 뜻이 아니라,“나를 도구로 삼아 의식의 진화를 경험하라”는 초대일지도 모른다.우리는 우주의 한 파동..